맨위로가기

아랍어 위키백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어 위키백과는 2001년 시작된 위키백과의 아랍어 버전이다. 2003년 정식 개설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비 아랍인 자원봉사자들이 주로 기여했다. 2004년 아랍인 편집자들이 참여하면서 성장을 시작했으나, 검열, 내용 편향성, 관리자 체포 및 이해 상충 문제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다. 2022년 12월에는 아랍어판 관리자 전원이 글로벌 영구 차단되었으며,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관련 로고 변경 및 사이트 중단 등의 사건도 있었다. 2022년 12월 기준 월간 1억 8천만에서 2억 6천만 뷰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집트에서 가장 많은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에 설립된 위키백과의 중국어 버전으로, 간체자와 번체자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중국 정부의 검열과 논란 속에서 바이두 백과와 경쟁한다.
아랍어 위키백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언어현대 표준 아랍어
위치마이애미, 플로리다
시작일2003년 7월 9일
유형인터넷 백과사전 프로젝트
상업성아니요
등록선택 사항
소유자위키미디어 재단
저자아랍 위키 커뮤니티
통계
문서 수1,225,377
등록 사용자 수2,225,357
파일 수43,529
순위16번째

2. 역사

홍콩에서 열린 위키매니아 회의 중 아랍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모임


아랍어 위키백과는 초기(2001년~2003년), 발전(2004년~2010년), 성장과 도전(2011년~현재)의 과정을 거치며 성장했다. 각 시기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초기 (2001년 ~ 2003년)

2001년 위키백과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 아랍 엔지니어들이 아랍어 도메인 생성을 요청했다.[4] "ar.wikipedia.org영어" 도메인이 생성되었지만, 익명의 사용자들이 아이디어를 시험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활동이 없었다.[5] 2003년 2월 7일까지 아랍어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들은 기술적인 측면을 관리하는 국제 위키백과 프로젝트의 비아랍인 자원봉사자들이었다.[6]

아랍어 위키백과에서 Elian이라는 사용자 이름을 사용했던 엘리자베스 바우어는 아랍어 프로젝트를 이끌 자원봉사에 관심이 있을 만한 많은 아랍어 사용자와 접촉했다. 이에 응답한 유일한 그룹은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의 아랍어화를 진행하던 ArabEyes 팀이었다. 엘리안의 요청은 신중하게 받아들여졌고, ArabEyes 팀은 참여할 준비는 되었지만 리더십 역할을 맡지는 않으려 했으며[7], 결국 2003년 2월 2일에 참여를 거부했다. 이 협상 기간 동안 독일어 위키백과 프로젝트의 자원봉사자들이 아랍어 위키백과의 기술적 기반을 계속 개발했다.[8][9]

2003년에는 독일에서 자르카 출신의 요르단 박사 과정 학생인 라미 타라와네(رامي عوض الطراونةar)가 영어 위키백과를 접하고 콘텐츠를 편집하기 시작했다. 기여자들은 그에게 아랍어 위키백과를 시작하도록 권유했다.[10] 아랍어 위키백과는 2003년 7월에 개설되었다.[11] 그 해에 타라와네와 독일에서 유학 중인 다른 4명의 요르단인을 포함한 상당한 수의 기여자들이 있었다.[10]

2. 2. 발전 (2004년 ~ 2010년)

2004년 2월 7일,[12] ArabEyes의 멤버인 이삼 바야지디(عصام بايزيديar)는 다른 친구 4명과 함께 아랍어 위키백과에 자원하여 참여했으며 일부 리더십 역할을 맡았다. 2004년 바야지드는 SysOp 권한을 부여받았고, 그 외 Ayman, Abo Suleiman, Mustapha Ahmad 및 Bassem Jarkas[13] 등 5명의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위키백과 프로젝트를 이끈 최초의 아랍인으로 여겨지며, 영어 정책을 아랍어로 번역하고 시행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아랍어 위키백과는 출범 당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2004년 2월에는 다른 모든 언어의 위키백과 프로젝트 중에서 최악으로 평가받았지만, 2005년에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고, 2005년 12월에는 총 문서 수가 8,285개에 달했다.[14] 당시 기여자는 20명 미만이었으며, 관리자와 기여자들이 새로운 사용자를 모집하기 위해 노력했다.[10]

2007년에는 특정되지 않은 국가의 비밀 경찰이 타라와네를 구금하고 기여자의 IP 주소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위키백과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관리자들은 타라와네가 관리자 권한을 잃은 것으로 추정되는 분쟁을 조작하여 비밀 경찰이 IP 주소를 얻을 수 없도록 했다. 이 사건에 대응하여, 위키백과 사용자에 대한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는 없도록 하는 규칙이 생겼다.[10]

2008년 위키백과는 65,000개 미만의 문서를 보유했으며, 에스페란토 위키백과슬로베니아어 위키백과에 밀려 위키백과 중 29위를 기록했다. ''뉴욕 타임스''의 노암 코헨은 2008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린 위키매니아 컨퍼런스 참석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아랍어 위키백과의 처참한 상황에 실망했다"고 보도했다.[15] 코헨은 이집트인 중 10% 미만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사람들 중 다수가 영어를 잘 알고 이 언어로 소통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언급했다.[15] 아랍어 위키백과는 2010년 1월 15일 기준으로 118,870개의 문서를 보유하고 있었다.

2. 3. 성장과 도전 (2011년 ~ 현재)

2012년 7월 기준으로 전 세계 아랍어 위키백과 편집자는 약 630명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치였다.[16] 당시 아랍어 위키백과에는 수십만 개의 문서가 있었다.[10] 위키미디어 재단과 비영리 단체 Taghreedat는 아랍어 위키백과 편집자를 양성하기 위한 "아랍어 위키백과 편집자 프로그램"을 설립했다.[16] 2014년 6월 말까지 문서 수는 384,000개에 달했다.[17]

이라크 자원봉사자들은 영어 위키백과의 많은 부분을 아랍어 위키백과로 번역했다.[18] Bayt Alhikma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10,000개 이상의 기사가 아랍어로 번역되었다. 아랍어 위키백과의 활성 사용자 수는 빠르게 증가하여 2021년 2월 10일 처음으로 10,000명을 돌파했다.[19]

2023년 12월 23일, 아랍어판 위키백과는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에 대한 휴전을 촉구하기 위해 로고를 팔레스타인 국기를 넣은 것으로 변경하고 24시간 동안 웹페이지 업데이트를 중단했다.[37][38]

3. 특징

아랍어 위키백과는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레이아웃: 아랍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기 때문에, 웹페이지 전체 레이아웃이 오른쪽 정렬이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 검색창이나 메뉴 등이 한국어판과는 반대로 배치된다.
  • 시스템: 아랍어의 특성상, 단어 앞에 오는 전치사가 있으면 자동으로 링크에 포함된다. 그러나 정관사나 여성 명사 어미(ة) 유무, 모음 기호(샤클) 유무에 따른 검색은 지원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1] 또한, 아랍 문자는 단어 내 위치에 따라 글자 모양이 변하는데, 입력 방식 차이로 인해 검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1]
  • 운영: 기사 수는 10만 개를 넘었지만, 스텁이 많고 편집 빈도는 낮은 편이다.[1] 오용 필터 도입으로 짧은 글은 거부되며, 관리자와 숙련된 사용자가 새 글을 검토한다.[1] 메인 페이지에는 최근 사건, 오늘의 기념일, 알찬 글, 알찬 그림, 오늘의 이야기 등이 표시된다.[1] 주간 프로젝트를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한 공동 편집을 장려한다.[1] 탐색 팝업, 핫캣 등의 도구가 사용되며, 검토된 개정판 도입으로 품질 및 반달리즘 방지 기능이 강화되었다.[1]
  • 웹사이트: 사용자 수가 적어 파일 관리가 잘 되고 저작권 침해 파일은 삭제된다.[1] 다른 지역에서의 반달리즘도 적어 비교적 안전하다.[1]

3. 1. 레이아웃

아랍어는 문장을 오른쪽에서 읽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문자를 표기하며, 전체 레이아웃을 오른쪽 정렬로 하는 스타일 시트를 읽어 사용한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검색창이나 네비게이션 등이 한국어판 등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언어와는 좌우가 반대로 배치된 레이아웃으로 렌더링된다. (계정이 있는 경우에는 개인 설정에서 표시 언어를 변경하여 네비게이션 등을 왼쪽 가로쓰기용 레이아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스타일 시트에 의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는 처리가 구현된 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표시가 되지만, 일본어영어 등의 문자가 있으면 해당 부분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표시된다. 문장 부호는 어느 언어에서나 사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등의 기호를 포함한 아랍어 이외의 문자열이 있으면 의도하지 않은 표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위키백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아랍어 전체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3. 2. 시스템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문장 내에 링크를 생성한 경우, 해당 링크 바로 앞에 단어에 연결되는 전치사 등이 있다면 자동으로 해당 단어를 포함하여 링크 앵커가 설정된다. 이러한 아랍어의 구조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는 반면, 항목명에서의 정관사(명사에서 한정인지 비한정인지를 나타내는 것)나 타 마르부타(여성 명사의 어미에 부가되는 문자) 등의 유무와 같은 모호함은 지원되지 않아, 검색된 여러 항목에서 사용자가 직접 찾아야 한다.[1] 또한, 특히 아랍어권 외에서 유입된 고유 명사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로, 항목명에 샤클(아랍어의 모음 기호)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샤클의 유무를 모호 검색으로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판 집필자가 만든 항목명의 철자를 모르면 검색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1]

이 외에도, 아랍 문자는 단어나 구절 내에서 해당 문자의 위치에 따라 글자 모양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문자의 기본형으로 입력하고 컴퓨터 측에서 실시간으로 글자 모양 변화 처리를 하는 방법과 직접 변화된 후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아랍어권에서의 전자 문서에서는 오랫동안 이 두 가지 방식이 혼재되어 왔고, 현재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1] 구글 등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유형의 차이를 흡수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미디어위키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입력된 항목 및 기사의 데이터 유형이 다르면 검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측면도 있다.[1]

3. 3. 운영

아랍어 위키백과의 기사 내용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다. 기사 수는 10만 개를 넘어섰지만, 짧은 글(스텁) 기사가 눈에 띄는 경향이 있으며, 기사 수정은 이루어지지만, 대부분 추가 편집 빈도는 비교적 적다.[1] 2009년에 오용 필터가 도입되면서 일정 문자 수를 채우지 못한 짧은 글은 거부되고, 그 외 신규 항목은 관리자나 경험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검토된다.[1]

메인 페이지에는 (الأحداث الجارية) 최근의 사건, (اليوم هو...) 오늘의 기념일, (مقالة مختارة) 알찬 글, (صورة مختارة) 알찬 그림, (من ذاكرة ويكيبيديا) 오늘의 이야기 등의 콘텐츠가 제시되어 있다.[1] 또는 (أسبوع الويكي "위키의 주간") 프로젝트를 통해 매주 다른 테마를 게시하고, 게시된 테마에 대해 많은 이용자를 모아 편집한다.[1]

탐색 팝업 가젯이 이용되고 있으며, 핫캣 스크립트를 통해 분류가 반자동으로 빠르게 삽입된다.[1] 2009년에는 검토된 개정판이 도입되면서 기사의 품질과 반달리즘 방지 대책도 높아지고 있다.[1]

한편, 웹사이트로서의 치안은 비교적 양호하다.[1] 원래 집필자 인구가 적고 내용도 아직 희박한 상태이므로 이용자도 그다지 많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1] 업로드되는 파일이나 이미지도 비교적 적기 때문에 파일 관리가 잘 되어 있으며, 저작권을 침해하는 파일은 삭제된다.[1] 또한, 아랍어권이 아닌 곳에서의 반달리즘도 적기 때문에, 훼손되거나 문제가 생기는 경우 자체가 적다고 할 수 있다.[1]

4. 검열 및 논란

시리아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아랍어 위키백과를 검열하고 있다.[39][40] 시리아 정부는 2008년 4월 30일부터 2009년 2월 13일까지 공식 발표 없이 아랍어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했으나, 다른 언어 위키백과는 허용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주로 성적인 내용을 담은 극소수의 아랍어 위키백과 문서를 차단하고 있다.

아랍어 위키백과가 가장 인기 있는 언어 버전인 국가들은 청록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키마니아 2008에서, 지미 웨일스는 이집트 블로거 카림 아메르의 체포와 같은 고위급 체포가 편집자들이 기여를 두려워하게 만들어 아랍어 위키백과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0]

2010년, 라디오 네덜란드 월드와이드의 타렉 알 카지리는 아랍어 위키백과가 일반적으로 아랍의 현실을 반영한다고 믿었다. 참여율이 낮으면 기사가 검토, 개발 및 업데이트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참여자들의 정치적 양극화는 기사에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21]

알렉사 인터넷에 따르면, 2014년 11월 26일, 아랍어 위키백과는 한 달 동안 모든 위키백과 방문자의 비율로 볼 때 위키백과에서 10번째로 많이 방문하는 언어 버전이며, "ar.wikipedia.org" 하위 도메인은 "wikipedia.org" 웹사이트 전체 방문자의 약 1.8%를 유치했다.[22] 이는 기사 수 측면에서 22위에 랭크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페이지 뷰 측면에서는, 상위 10개의 위키백과 외에 폴란드어 및 네덜란드어 위키백과를 포함하여 12위에 랭크되어 있다.[23]

4. 1. 검열

시리아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아랍어 위키백과를 검열하고 있다.[39][40] 시리아 정부는 2008년 4월 30일부터 2009년 2월 13일까지 공식 발표 없이 아랍어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했으나, 다른 언어 위키백과는 허용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주로 성적인 내용을 담은 극소수의 아랍어 위키백과 문서를 차단하고 있다.

4. 1. 1. 시리아

시리아 정부는 2008년 4월 30일부터 2009년 2월 13일까지 아랍어 위키백과 접속을 차단했으나,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다.[39][40] 다른 언어 위키백과는 접속이 허용되었다.

4. 1. 2.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주로 성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극소수의 아랍어 위키백과 문서에 한하여 차단을 시행하고 있다.[39][40]

4. 2. 내용 편향성 및 비판

아랍어 위키백과는 중동 중심적인 (종교정치적) 내용 편향성으로 인해 주목받아 왔다.[24][29][25][27][28] 2014년 와이어드 기사 "중동에서 아랍어 위키백과는 논쟁의 불씨이자 등불"에서, 69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와 24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한 아랍어 위키백과는 "영어판의 단순한 번역 그 이상"이라고 언급했다.[24] 이 기사들은 종종 이 지역의 종교적, 정치적 민감성에 의해 형성된 세계관을 반영하며, 서구적 관점과는 크게 다르다.[24]

2020년 중반, 아랍어 위키백과는 사라 헤가지에 대한 기사가 삭제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삭제 토론 결과, 해당 기사가 중요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26] 일부 아랍 LGBT 활동가들은 소셜 미디어에서 아랍어 위키백과가 LGBT 커뮤니티에 대한 편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행위가 검열, 혐오 발언 및 중동 내 동성애 혐오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뉴스 웹사이트 ''Raseef22''는 아랍어 위키백과의 정책을 비판하며, 이 프로젝트가 소수자와 여성에 대한 기사를 거부하는 편견 있는 관리자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랍어 위키백과의 관리자들은 삭제 과정은 정상적인 절차이며,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한 표적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27][28]

많은 사람들은 아랍어 위키백과의 신뢰성이 세속적 내용 부족과 종교적, 정치적 동기의 영향으로 인해 훼손되었다고 생각한다.[29]

4. 3. 관리자 체포 및 이해 상충 문제

2020년 "여론에 영향을 미쳤다", "공서양속에 위반했다"는 이유로 관리자 2명이 체포되었는데,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은 정부에 비판적인 정보를 기고했기 때문이라고 한다.[36] 2023년 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정부와 연관된 인물을 위키백과 관리자로 임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부에 비판적인 언행을 한 편집자를 발견하여 체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키미디어 재단은 2022년 1월부터 MENA 지역의 위키백과에서 이해 상충 의혹이 있는 편집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외부 단체와 연관된 사용자가 편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2022년 12월 아랍어판 관리자 전원을 글로벌 영구 차단했다.[36]

5. 이용 현황

플로렌스 드보아르(Florence Devouard) 전 위키미디어 재단 회장은 2010년에 아랍어 위키백과에 가장 많은 기사를 작성한 사람들이 이집트인이며, 다른 그룹에 비해 이집트인이 아랍어 위키백과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언급했다.[33]

일반적으로 아랍어 위키백과는 대부분의 아랍 국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위키백과 언어 버전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영어 사용 등의 이유로 이용률에 차이를 보인다. 2022년 12월 기준, 아랍어 위키백과는 월간 약 1억 8천만에서 2억 6천만 뷰를 기록하며, 겨울과 봄에 페이지 뷰가 높다.[35]

아이디어스 비욘드 보더스(Ideas Beyond Borders)는 아이 빌리브 인 사이언스(I Believe in Science) 웹사이트와 협력하여 2018년 12월에 아랍어로 과학 관련 기사를 번역하기 위해 베이트 알히크마 2.0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5. 1. 국가별 이용 현황

시간 경과에 따른 아랍어 위키백과의 페이지 뷰, 국가별 분석


2018년 기준으로 아랍어 위키백과는 튀니지, 코모로, 차드, 레바논, 카타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랍 국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위키백과 언어 버전이다. 특히 이집트, 리비아, 레반트 지역(이스라엘 및 레바논 제외) 및 아랍 반도에서 높은 이용률을 보인다.[34] 2010년 위키미디어 재단 회장이었던 플로렌스 드보아르(Florence Devouard)는 아랍어 위키백과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사람들이 이집트인이며, 다른 그룹에 비해 이집트인이 아랍어 위키백과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언급했다.[33]

이러한 국가별 이용 현황 차이는 아랍어 위키백과의 질과 양 부족, 그리고 영어의 우세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영어 사용이 우세한 국가들에서는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필리핀 등 영어가 가장 인기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국가 출신의 이주민이 많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34]

2022년 12월 현재 아랍어 위키백과는 계절에 따라 월간 약 1억 8천만에서 2억 6천만 뷰를 기록하고 있으며, 겨울과 봄에 가장 많은 페이지 뷰를 기록한다.[35]

5. 2. 페이지 뷰 통계

2022년 12월 현재 아랍어 위키백과는 계절에 따라 월간 약 18,000만에서 26,000만 뷰를 기록하고 있다. 가장 많은 페이지 뷰는 겨울과 봄에 기록된다.[35]

참조

[1] 논문 Arabic Wikipedia: Why it lags behind http://www.asfar.org[...] 2014-12-23
[2] 웹사이트 Wikimedia News/2009 - Meta https://meta.wikimed[...] 2019-11-18
[3] 웹사이트 Wikimedia News - Meta https://meta.wikimed[...] 2019-11-18
[4] 웹사이트 المستشار / طارق قابيل http://arsco.org/det[...] 2014-08-04
[5] 문서 Archived discussions about International languages. Refer to section "Provisional is Best, Sort by Population". https://meta.wikimed[...] 2019-12-08
[6] 웹사이트 arabic wikipedia http://lists.arabeye[...] 2014-08-04
[7] 웹사이트 We have a problem! http://lists.arabeye[...] 2014-08-04
[8] 웹사이트 ويكيبيديا:الميدان https://ar.wikipedia[...] 2014-08-04
[9] 문서 The discussion page of Svertigo that shows the non-Arab volunteers working on the Arabic Wikipedia in late 2003
[10] 간행물 In the Middle East, Arabic Wikipedia is a flashpoint – and a beacon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4-02-14
[11] 논문 The Beginnings of Wikipedia Masry University of Oxford Faculty of Oriental Studies 2010
[12] 웹사이트 X!'s tools http://tools.wmflabs[...] 2014-08-04
[13] 문서 These were Ayman, Abo Suleima, Mustapha Ahmad and Bassem Jarkas
[14] 문서 Wikipedia Statistics - Arabic Wikipedia
[15] 뉴스 In Egypt, Wikipedia is more than hobby https://www.nytimes.[...] 2008-12-14
[16] 문서 'Taghreedat' to offer Arab Tweeps their own search engine Al Arabiya 2012-07-19
[17] 웹사이트 Wikipedia Statistics Arabic. Retrieved on 4 August 2014 http://stats.wikimed[...] 2014-08-04
[18] 웹사이트 Spread the word: the Iraqis translating the internet into Arabic https://www.theguard[...] 2019-10-08
[19] 문서 List of Wikipedias https://meta.wikimed[...] 2021-07-16
[20] 웹사이트 Wikipedia Goes to Alexandria, Home of Other Great Reference Works http://bits.blogs.ny[...] 2012-06-29
[21] 웹사이트 ويكيبيديا والعرب: خلل في المشروع أم في الثقافة؟ http://www.rnw.nl/ar[...] 2011-07-08
[22] 웹사이트 Wikipedia.org Traffic, Demographics and Competitors - Alexa http://www.alexa.com[...] 2012-11-15
[23] 웹사이트 Wikimedia Traffic Analysis Report - Page Views Per Wikipedia Language - Breakdown https://stats.wikime[...] 2014-11-26
[24] 간행물 In the Middle East, Arabic Wikipedia Is a Flashpoint — And a Beacon https://www.wired.co[...] 2024-09-14
[25] 웹사이트 https://www.israelna[...] 2024-09-14
[26] 문서 Sarah Hegazi's discussion on Arabic Wikipedia https://ar.wikipedia[...]
[27] 뉴스 ويكيبيديا وقصة سارة حجازي تثيرويكيبيديا وقصة سارة حجازي تثير الجدل حول المعايير التحريرية وحرية التعبير https://www.bbc.com/[...] 2020-08-16
[28] 웹사이트 بعد حذف صفحة التعريف بسارة حجازي… كيف تُدار "ويكيبيديا العربية"؟ https://raseef22.net[...] 2020-08-16
[29] 웹사이트 Requests for comment/Requesting a look into Arabic Wikipedia Bias - Meta https://meta.wikimed[...] 2024-09-14
[30] 웹사이트 Truth held hostage: Language differences in Wikipedia's 'Israel-Hamas War' page - opinion https://www.jpost.co[...] 2024-06-02
[31] URL https://www.israelna[...]
[32] 웹사이트 Wikipedia Arabic closes its site for 24 hours in solidarity with Gaza https://www.jordanne[...] 2023-12-23
[33] 뉴스 Le masri est-il contre l'arabe ? http://hebdo.ahram.o[...] Al-Ahram Hebdo 2010-03-13
[34] 웹사이트 Wikimedia Traffic Analysis Report - Wikipedia Page Views Per Country - Breakdown https://stats.wikime[...] 2023-01-12
[35] 웹사이트 Wikistats - Statistics For Wikimedia Projects https://stats.wikime[...] 2023-01-12
[36] 웹사이트 サウジ政府がWikipediaにスパイを送り込み編集者2人を拘束、Wikipediaはサウジアラビアの管理者を全員追放 https://gigazine.net[...] 2023-01-08
[37] 웹사이트 'Arabic Wikipedia' shuts down for one day in solidarity with Gaza https://en.royanews.[...] 2024-02-07
[38] 웹사이트 Wikipedia Arabic closes its site for 24 hours in solidarity with Gaza - Jordan News | Latest News from Jordan, MENA https://www.jordanne[...] 2023-12-23
[39] 뉴스 Security Watch / Current Affairs / ISN http://www.isn.ethz.[...]
[40] 웹인용 Arabic Wikipedia Disappears From The Internet in Syria http://www.menassat.[...] 2019-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